울산대병원분회가 걸어온 길

1대 집행부: 1987년8월~1989년9월 송영대 초대위원장
노동조합을 건설하다.
1987 노동자 대투쟁, 울산을 휘감은 민주화 바람, 남목고개를 뒤덮은 동구노동자의 함성
1987 노동자 대투쟁, 울산을 휘감은 민주화 바람, 남목고개를 뒤덮은 동구노동자의 함성

2대 집행부: 1989년10월~1992년9월 송영대
3대 집행부: 1992년10월~1995년9월 임상구
4대 집행부: 1996년10월~1998년9월 임상구
3대 집행부: 1992년10월~1995년9월 임상구
4대 집행부: 1996년10월~1998년9월 임상구
민주노조의 기틀을 마련하다. 초대집행부 임금-단체협약 체결, 병원노련의 의료민주화 투쟁,
현총련 설립, 90년대 임단투,호봉제 쟁취

5대 집행부: 1999년10월~2001년9월 송영대
보건의료노조 건설, 산별노조 교섭과 투쟁, 의사 집단치료 거부와 임금체불, 어린이집 설립 투쟁

6대 집행부: 2001년10월~2003년1월 이장우
2002년 산별노조 공동투쟁, 박일수 열사 투쟁, 청소와 식당 외주화, 2004년 여름 무더웠던 14일 파업 투쟁

8대 집행부: 2005년1월~2007년12월 임상구
보건의료노조 탈퇴와 의료연대노조 건설, 제도개선위원회와 호봉제도 개선, 2007년 투쟁과 비정규직 정규직화 파업

9대 집행부: 2008년1월~2010년12월 김태우
정당한 노동력의 대가를 찾아 총력 투쟁, 현장 통제와 노동탄압에 대한 저항, 울산대병원 청소노동자들 노조결성, 울산민들레분회 단체교섭 쟁취 투쟁

10대 집행부: 2011년1월~2013년12월 한성기
임단협 투쟁 그리고 달라지지 않는 사측, 연대활동

11대 집행부: 2014년1월~2016년12월 이장우
경선으로 집행부 출범, 통상임금 소송, 권위주의에 맞서다, 임금체계 변경과 하위호봉 철폐, 의료공공성 강화 및 지역연대 활동, 박근혜 정권 퇴진운동, 울산대학교 부속병원 전환

12대 집행부: 2017년1월~2019년12월 김태우
사학연금 전환 특별교섭, 2017년 임단협 투쟁 - 16일의 총파업 의미

13대 집행부: 2020년1월~2022년12월 김재선
집행부의 출범과 함께 찾아온 코로나 펜데믹, 감염 병동 확대와 병원노동자의 열악한 환경속에서의 투쟁

14대 집행부: 2023년1월~2024년3월 박창원
코로나 종식과 이후 병원노동자들의 희생, 2023년 임단협 최장기 파업

15대 집행부: 2024년4월~2025년 현재 이민규
보궐선거로 15대 집행부 시작.